2023. 3. 11. 00:37ㆍCOSMOS
명왕성(Pluto)은 태양계에서 해왕성의 바깥쪽에 위치한 외행성(永存行星)으로, 1930년에 태양계의 9번째 행성으로 발견되었다.
명왕성은 지구에서 약 43억만km 떨어진 곳에 위치하였으며, 지름은 약 2374km로 지구 지름의 약 18% 정도 크기이다. 질량 역시 지구의 0.2%에 불과하여 지구의 위성인 달과 비교해도 달이 5배이상 무거울 정도로 행성으로서는 매우 작다.
명왕성은 자전 주기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하루동안 명왕성이 자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6.4일이다. 명왕성은 얼음 행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표면 온도는 약 마이너스 230℃로 아주 차가워서 대기도 얇고 차가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명왕성은 2006년까지 태양계에서 9번째 행성으로 인정되었지만, 이후 국제천문연합에서 새로운 정의에 따라 "행성"이 아니라 "왜행성체(dwarf planet)"로 분류되었다.이는 명왕성이 네이마쿠 객체(Neptune trojan)와 비슷한 궤도를 가지고 있어, 태양계의 다른 행성들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 네이마쿠(Nemesis) 객체는 명왕성(Pluto)과 그 궤도 주변에 위치한 천체들 중 하나로, 명왕성과 비슷한 크기를 가진 물체로 추정되지만 아직 정확한 크기나 형태 등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명왕성이 태양계 행성에서 제외된 진짜 이유는 이것보다 더 복잡하다.
우선 기존에는 태양계 행성으로 인정되기 위해서 아래의 조건들을 만족해야 했다.
1)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볼록한 형태를 유지하는 물체여야 한다.
2) 주위를 정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궤도 상에 다른 물체가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3)자 기 중력으로 인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크기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들만으로는 명왕성을 태양계 행성으로 인정할 수 없게 되었다.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명왕성은 네이마쿠 객체와 비슷한 궤도를 가지고 있어, 다른 행성과는 차이가 있다.
2) 명왕성은 이케키엘 궤도(Eccentric, Inclined, and Resonant orbit)를 가지고 있어, 주위를 정리하는 능력이 약하다.
3) 명왕성은 지름이 약 2370km로, 지구의 약 1/5 크기에 불과하다.
따라서, 국제천문학연맹은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분류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는 행성을 분류하는 기준을 다시 고민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명왕성이 태양계 행성에서 제외된 가장 큰 이유는 "카이퍼 벨트"와 관련이 있다.
카이퍼 벨트는 태양계 바깥쪽 경계 부근에 있는 대량의 작은 천체들로 이루어진 지역이다. 이 지역에는 명왕성과 같은 대형 천체도 포함되어 있다.
태양계 9번째 행성이었던 명왕성은 카이퍼 벨트에서 더 많은 대형 천체들이 발견되면서 행성으로서의 위상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카이퍼 벨트에 있는 대형 천체들은 명왕성과 비슷한 크기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명왕성을 행성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대형 천체들도 모두 행성으로 인정해야 했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태양계 안에 너무 많은 행성이 생기게 되어 태양계의 정의가 모호해질 뿐 아니라, 태양계를 이해하는 데도 혼란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결국, 2006년 국제천문학연맹은 태양계에서 행성으로 인정되기 위한 조건을 다시 검토하고, 명왕성의 지름이 2,300km 이상이어야 하며, 그 궤도 주위를 지배하는 천체들과 달리 주위를 지배하지 못하는 천체로 분류되어야 한다는 기준을 새롭게 제정하였다.
이 조건에 따라 명왕성은 결국 행성이 아니라 "왜행성(dwarf planet)"으로 분류된것이. 그리고 그 이후로 태양계에는 8개의 행성과 5개의 왜행성 (명왕성,에리스,세레스,하우메아,마케마케)이 있다고 인정되고 있다.
'COSM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금바다를 품은 태양계 최대 위성 '가니메데' (Ganymede) (0) | 2023.03.19 |
---|---|
바다가 있는 토성의 위성 '타이탄' (0) | 2023.03.16 |
우주에서 가장 거대한 은하 IC1101 (0) | 2023.03.15 |
우리 은하 최대 크기의 별 , 스티븐슨 2-18 (Stephenson 2-18) (0) | 2023.03.08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Laniakea Supercluster) (1) | 2023.03.08 |